s s
닫기

일본어 해석 부탁합니다 유님 일본어 해석 부탁합니다 유님


일본어 해석 부탁합니다 유님

image

일본어 해석 부탁합니다 유님

첫 번째

斗滿浦: 토만게헤- 또는 토만데헤-로 보임 => 토만은 두만을 그리 들었다고 해도, 포가 게에? 게헤, 데헤로 들린 것은 이상하네요. 어쩌면 태종대 해운대처럼 두만대였을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두 번째

杏洞: 팡통 => 이것도 행동이 어찌 팡동으로 들렸을지, 불가사의

세 번째

峙村: 츈마루, 첸마루 => 치말 이었을 까요?

네 번째

下佳: 하카 => 하가

다섯 번째

長川: 챵나에- => 장내가 창내로 들렸겠지요

여섯 번째

筆洞:피루 => 필동, 동에는 표시없음

일곱 번째

滄澤: 챵타쿠 => 창택

三花: 사무코츠 => 요건 삼꽃 이었겠네요.

여덟 번째

東谷: 통 => 동골, 동실 뭐든 곡에는 발음을 붙이지 않았네요

아홉 번째

自隱洞: 지온 => 자은 어디선가는 自를 코로 읽었었지요?

열 번째

道洞: 톤 => 도동이 통으로 들렸나?

열한번째

杏洞: 향 => 두 번째 사진에서는 팡통으로 들었는데, 여기로 출장간사람은 행동이 향으로 들렸나보네요.

白岩洞: 퍄쿠아무 => 백암

열두번째

琴谷: 쿠무시루 => 금실이었겠네요

열세번째

北倉: 푸쿠챵 => 북창

열네번째

柳洞: 포츠 ==> 포츠의 발음은 뒤의 츠를 촉음(받침 격)으로 읽으면 폿, 뽓이 되므로 아마도 버들골 정도의 버들을 폿이나 뽓으로 들었을 수도

열다섯번째

大將山: 타에-쟝 => 대장

열여섯번째

淨界堰: 테누레케온 => 요것도 재미있네요 총게온 챵게온 뭐든 적을 수 있었을 텐데, 깨끗하게 씻는 경계의 방죽이라서 손이젖는다는 테누레てぬれ를 붙였을까요?

열일곱번째

公須洞: 코구스토그 => 나름 콩스통이라고 발음대로 적으려 했겠네요.

열여덟번째

洪堰: 호구세-ㄴ ==> 홍샘 이었는지도

AI답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8 #3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3 #56 #58 #60 #62 #63 #67 #68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