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사무실에 전기차 충전관련 입니다. 작은 사무실을 하나 얻게되는데 기왕 얻는김에 전기차 충전을 하려고 합니다
사무실에 전기차 충전관련 입니다. 작은 사무실을 하나 얻게되는데 기왕 얻는김에 전기차 충전을 하려고 합니다
작은 사무실을 하나 얻게되는데 기왕 얻는김에 전기차 충전을 하려고 합니다 알아보는중 220v 이동식 완속충전기를 이용하는방법과 150~200만원주고 가정용 완속충전기를 설치해서 이용하는방법을 추천하는것 같은데어떤게 유리할까요 ? 그리고 비용은 둘다 어느정도 나오는지 궁금합니다한달에 2천km정도 타고 있습니다.
i
작은 사무실에서 전기차 충전을 고려할 때, 220V 이동식 완속충전기와 가정용 완속충전기(7kW 급)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각각의 장단점과 비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 1. 220V 이동식 완속충전기 (비용 저렴)
설치 비용: 별도 설치 필요 없음 (기본적으로 콘센트만 있으면 됨)
장비 가격: 30~60만 원 (이동식 완속충전기 구매 비용)
충전 속도: 2~3kW → 100km 충전 시 약 10~12시간 소요
전기 요금: 일반 주택·사무실 전기요금 적용 (누진제 영향 받을 수 있음)
장점:
초기 비용이 거의 없음 (기본 콘센트 활용 가능)
사무실에서 장시간 충전 가능하면 문제 없음
단점:
충전 속도가 매우 느려, 하루 200~300km 정도만 충전 가능
사무실 전기 용량이 낮다면 차단기 차단 위험
✅ 추천 대상: 주행거리가 많지 않고, 밤새 장시간 충전할 수 있는 경우
✅ 2. 가정용 완속충전기 (7kW, 150~200만 원)
설치 비용: 150~200만 원 (기기 비용+설치 공사)
충전 속도: 7kW → 100km 충전 시 약 3~4시간 소요
전기 요금: 전기차 전용 요금제 활용 가능 (전기료 절약 가능)
장점:
충전 속도가 빠름 (1시간에 약 40~50km 주행 가능)
전기차 전용 요금제(심야 전력) 이용 가능
안전한 충전 환경 제공
단점:
초기 설치 비용이 비쌈 (설치가 어려울 수도 있음)
전기 인입 용량이 충분해야 함 (사무실 전기설비 확인 필요)
✅ 추천 대상: 주행거리가 많고, 빠른 충전이 필요한 경우
전기 요금 비교 (월 2,000km 주행 기준)
220V 이동식 완속충전기 (2~3kW)
약 300~350kWh 사용 → 일반 사무실 요금 적용
월 전기료: 약 5~7만 원 (누진제 영향 받을 수도 있음)
7kW 완속충전기 (전기차 전용 요금제)
약 300~350kWh 사용 → 심야 요금 적용 가능
월 전기료: 약 3~5만 원 (전용 요금제 사용 시 더 절약 가능)
결론: 어떤 방법이 유리할까?
초기 비용을 아끼고 싶다면?
220V 이동식 완속충전기 (설치 비용 없음, 다만 충전 속도가 느림)
자주 타고 충전 속도가 중요하다면?
가정용 7kW 완속충전기 (비용이 들지만 빠르게 충전 가능)
사무실 전기 용량이 낮다면?
220V 충전이 현실적 (전기 용량 증설이 어렵다면 설치 불가)
추천: 월 2,000km 주행이면 하루 70km 이상 타는 수준이므로, 가정용 7kW 완속충전기 설치가 장기적으로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전기차 전용 요금제를 적용하면 전기요금도 절약할 수 있어 초기 투자 대비 장점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