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갯바위 찌낚시 밑밥 품질 방법 조언구합니다. 미천한 그림 실력이지만, 필드 상황부터 설명 드리자면, 검정 : 갯바위 및

미천한 그림 실력이지만, 필드 상황부터 설명 드리자면, 검정 : 갯바위 및 바위 빨강 : 조류 방향 파랑 : 찌 흐름 보라 : 밑밥 품질 위 필드상황에 저렇게 품질을 하였고, 수심은 4M 였으며, 11물 들물이였습니다. 조류 속도는 우측 끝에 찌를 투척해서 2분안으로 홈통으로 찌가 흘러서 홈통에서는 찌가 멈추었습니다. 반탄류 때문인지 수심을 아무리 더 줘도 고등어만 걸리고, 바닥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상황이였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일때 밑밥 품질과 어떤식으로 운영을 했어야 옳은 판단이였을까요?... 너무 답답해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 채비낚시대 : 1-530찌 : 1호 막대찌 라인 : 원줄 2, 목줄 2 조개봉돌은 목줄 50CM 위에 3B한개 물렸습니다. 무분별한 비방도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제대로된게 하나도 없네요. 절대로 무시하는게 아니고 첨부터 세팅해보겠습니다.
설명이 정리가 안될수있지만 최대한 정리해서 받아주시고 궁금한건 언제라도 물어 다이해를 하시고 넘어가세요.
먼저 채비 1-530 1호막대찌 2호원줄,2호목줄... 조개봉돌3B하나.
기본적으로 1호찌낚시대에 원줄은 2~3호줄을 쓰고 목줄은 한두단계낮은 호수의 카본사를 씁니다. 원줄이 2호라면 1.5호목줄이 바란스가 맞고요. 1호막대찌는 잔존부력이 3.75g인데 3B는0.95g밖에 안돼서 막대찌가 물밖으로 많이 나오는것도 있지만 찌의 영점이 안잡혀있어 고기가 이물감을 많이 느껴 미끼를 뱉아냅니다.
1호수중찌를 달아 채비셋팅이 되어야합니다. 0.8호찌에는 0.8호수중찌. 잔존부력을 상쇄시켜줘야합니다.
캐스팅을 해서 최대한 멀리 던져야하는데 수심이 4m라면 조금더 깊은 포인트를 찾는게 좋습니다. 지금의 포인트는 골창이 입질포인트가 될수있는데 밑밥이 이곳으로 다 모입니다. 그래서 님생각처럼 우측끝으로 캐스팅해서 채비정렬을 하고 님이 서있는 발앞에 조금의 밑밭을 줍니다. 채비가 정렬이 돼서 바닥층에 미끼가 있는상황에서 입질예상지점으로 가야 대상어를 잡을수있죠. 그림을 보니 조류를 조금 읽을줄은 아시네요. 조류의 상층에 채비캐스팅, 수심대비 밑밥투척은 수심이 깊으면 우측, 수심이 낮으면 정면에, 조류의 속도에 따라도 투척지점은 달라집니다.
고등어가 있는곳에서는 밑밥 한번 잘못 넣으면 하루종일 고등어군단에 고생합니다. 고등어전갱이군단이 있을때 간결하게 멀리 채비를 투척하고 채비정렬후 밑밥한두주걱을 흐트려 뿌리는게 아니고 주걱그대로 예상입질포인트상단에 투척후 빨리 갈아앉게하는게 좋습니다. 글로써 설명하는게 한계인데 필드에서 프로님께 30분만 조언을 듣고하면 할수있고요. 채비셋팅은 따라 많은 낚시카페,동호회등 채비설명을 읽으면서 이해해보세요.
님이 올리신포인트는 많이 접할수있는 포인트중에 대상어를 잡을수있는 좋은포인트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