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년에 한번이라고 하는데 1,2차 동시에 봐야하나요?1차 합격 2차 떨어지면 1차 내년에 다시보나요?2. 수험기간 얼마나 걸리나요?3. 공무원처럼 인강이 최선인가요?4. 합격하면 공인중개소 차려서 하시는거 같은데실무도 안해본 초짜면 어떻게 시작을 하시는지?( 30-40대도 밑에 들어가거나 기업 채용 되는지)5. 시험 수준이 공무원급인가요?대략 수험수준이 어느정도로 생각하면 되나요?( 예 행시급은 아닌거 같은데 대략적으로 뭐가 비슷한지)6. 경쟁률과 합격컷이 절대평가고 합격률이 낮은편이라고하는데 시험 점수만 맞추면 합격인가요?7. 시험이 주관식인가요 객관식인가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를 고민하고 계신 질문자님.
저도 3년전 33회에 합격한자로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리해드릴게요.
공인중개사 시험은 1년에 딱 1번 있고, *1차(민법, 부동산학개론)*와 *2차(중개사법, 공법, 공시법, 세법)*를 같은 날 봅니다. 1차 합격 후 2차 불합격이면, 내년에는 1차는 면제되고 2차만 다시 보면 됩니다.
그러나 1차 불합격 2차 합격이면 내년에 1차 2차 다시 봐야합니다.
보통 직장인 기준으로는 8~12개월 정도 잡습니다. 하루에 2~3시간 꾸준히 투자하면 1년 안에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3년만에 합격했고 하루 8시간씩 꾸준히 했습니다. 첫해 1차합격, 두번쩨 해 1차합격 3년째 2차합격.
공무원처럼 인강으로 기본기를 다지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학원이나 인강 커리큘럼 따라가는 게 합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이에요. 무한 반복이 답입니다.
처음부터 바로 개업하는 분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존 공인중개사 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시작합니다. 30~40대라도 취업 가능합니다. 프랜차이즈 중개업체에서 신입을 뽑는 경우도 있어요.
공무원보다는 범위가 좁지만, 법 과목이 많아 암기량이 만만치 않습니다. 흔히 “공무원 9급보다 약간 쉽지만 만만치 않다” 정도로 많이 비교합니다. 행정고시급은 절대 아니고요.
공인중개사 시험은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입니다. 과목별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다만 과락 때문에 불합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법이 어렵기 때문 공법은 40점만 넘기자라는 마음으로 하고 나머지 과목을 열심히.
100% 객관식 4지선다형입니다. 주관식은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1년에 한 번, 절대평가제이고, 공무원 시험만큼은 아니지만 꾸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합격 후엔 사무소 취업이나 개업으로 경력을 시작하게 됩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https://m.site.naver.com/1qyPi

공인중개사 의무 강화, 무엇이 달라졌나?
7월 10일부터 공인중개사의 확인설명 의무가 강화됩니다. 이는 전세사기를 예방하고 관리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입니다. 이번 변화를 통해 공인중개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부제: 전세사기 예방, 공인중개사 역할 강화 이 글의 순서0. 이 글의 요약1. 보증금 환급순위, 미리 알림2. 임차인 보호제도, 미리 알림3. 불법중개 행위 여부, 미리 알림4. 관리비, 미리 알려줘요5. 확인설명 의무강화의 장점6. 결론7. 도움되는 글 0. 이 글의 요약 ◑ 공인중개사는 임대인의 체납 세금 및 선순위 세입자 ...
https://m.site.naver.com/1LNHl

가족 간 전세계약, 시세보다 싸게 해도 괜찮나?(공인중개사 노하우) - money-health
공인중개사로 일하면서 가족 간 전세계약 상담을 수없이 받아왔습니다. 특히 최근 집값 상승으로 자녀 명의 집에 부모님이 전세로 들어가는 사례가 늘고 있어요. 시세보다 저렴하게 계약해도 문제없는지, 어떤 절차를 지켜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