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시험 1. 1년에 한번이라고 하는데 1,2차 동시에 봐야하나요?1차 합격 2차 떨어지면
1. 1년에 한번이라고 하는데 1,2차 동시에 봐야하나요?1차 합격 2차 떨어지면 1차 내년에 다시보나요?2. 수험기간 얼마나 걸리나요?3. 공무원처럼 인강이 최선인가요?4. 합격하면 공인중개소 차려서 하시는거 같은데실무도 안해본 초짜면 어떻게 시작을 하시는지?( 30-40대도 밑에 들어가거나 기업 채용 되는지)5. 시험 수준이 공무원급인가요?대략 수험수준이 어느정도로 생각하면 되나요?( 예 행시급은 아닌거 같은데 대략적으로 뭐가 비슷한지)6. 경쟁률과 합격컷이 절대평가고 합격률이 낮은편이라고하는데 시험 점수만 맞추면 합격인가요?7. 시험이 주관식인가요 객관식인가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를 고민하고 계신 질문자님.
저도 3년전 33회에 합격한자로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리해드릴게요.
공인중개사 시험은 1년에 딱 1번 있고, *1차(민법, 부동산학개론)*와 *2차(중개사법, 공법, 공시법, 세법)*를 같은 날 봅니다. 1차 합격 후 2차 불합격이면, 내년에는 1차는 면제되고 2차만 다시 보면 됩니다.
그러나 1차 불합격 2차 합격이면 내년에 1차 2차 다시 봐야합니다.
보통 직장인 기준으로는 8~12개월 정도 잡습니다. 하루에 2~3시간 꾸준히 투자하면 1년 안에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3년만에 합격했고 하루 8시간씩 꾸준히 했습니다. 첫해 1차합격, 두번쩨 해 1차합격 3년째 2차합격.
공무원처럼 인강으로 기본기를 다지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학원이나 인강 커리큘럼 따라가는 게 합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이에요. 무한 반복이 답입니다.
처음부터 바로 개업하는 분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존 공인중개사 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시작합니다. 30~40대라도 취업 가능합니다. 프랜차이즈 중개업체에서 신입을 뽑는 경우도 있어요.
공무원보다는 범위가 좁지만, 법 과목이 많아 암기량이 만만치 않습니다. 흔히 “공무원 9급보다 약간 쉽지만 만만치 않다” 정도로 많이 비교합니다. 행정고시급은 절대 아니고요.
공인중개사 시험은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입니다. 과목별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다만 과락 때문에 불합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법이 어렵기 때문 공법은 40점만 넘기자라는 마음으로 하고 나머지 과목을 열심히.
100% 객관식 4지선다형입니다. 주관식은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1년에 한 번, 절대평가제이고, 공무원 시험만큼은 아니지만 꾸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합격 후엔 사무소 취업이나 개업으로 경력을 시작하게 됩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https://m.site.naver.com/1qyPi

공인중개사 의무 강화, 무엇이 달라졌나?
7월 10일부터 공인중개사의 확인설명 의무가 강화됩니다. 이는 전세사기를 예방하고 관리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입니다. 이번 변화를 통해 공인중개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부제: 전세사기 예방, 공인중개사 역할 강화 이 글의 순서0. 이 글의 요약1. 보증금 환급순위, 미리 알림2. 임차인 보호제도, 미리 알림3. 불법중개 행위 여부, 미리 알림4. 관리비, 미리 알려줘요5. 확인설명 의무강화의 장점6. 결론7. 도움되는 글 0. 이 글의 요약 ◑ 공인중개사는 임대인의 체납 세금 및 선순위 세입자 ...
https://m.site.naver.com/1LNHl

가족 간 전세계약, 시세보다 싸게 해도 괜찮나?(공인중개사 노하우) - money-health
공인중개사로 일하면서 가족 간 전세계약 상담을 수없이 받아왔습니다. 특히 최근 집값 상승으로 자녀 명의 집에 부모님이 전세로 들어가는 사례가 늘고 있어요. 시세보다 저렴하게 계약해도 문제없는지, 어떤 절차를 지켜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